티스토리 뷰

반응형

많은 분들이 기다리던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이 돌아왔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와 은행이 함께 제공하는 특별 금융상품으로, 청년들이 5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최대 5,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.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특징, 가입 조건,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해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요?

청년도약계좌는 정부 지원금비과세 혜택을 포함한 저축 상품입니다. 가입자는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고, 정부는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최대 6%의 기여금을 지급합니다.

또한, 은행에서 제공하는 이자를 통해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연이율은 4.5%에서 6% 수준으로 은행별로 차이가 있으며, 비과세 혜택까지 적용되어 절세 효과도 뛰어납니다.

 

가입 대상은 누구인가요?

청년도약계좌는 나이와 소득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.

① 나이 조건

  • 가입일 기준 만 19세~34세
  • 병역 이행 기간(최대 6년)은 나이에 포함되지 않음

② 개인 소득 조건

  • 직전연도 총급여액 7,500만 원 이하
  • 또는 직전연도 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

③ 가구 소득 조건

  •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

※ 가구 소득 기준은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산정되며, 이를 통해 자격을 확인합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하기

정부 기여금: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나요?

정부가 지원하는 기여금은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다릅니다. 예를 들어:

  • 총급여 2,400만 원 이하:
    월 납입액 40만 원까지 6%의 기여금 지급
    (40만 원 × 6% = 2만 4천 원)
  • 총급여 3,600만 원 이하:
    월 납입액 40만 원까지 3%의 기여금 지급
    (40만 원 × 3% = 1만 2천 원)
  • 총급여 6,000만 원 초과 ~ 7,500만 원 이하:
    정부 기여금은 없으나 비과세 혜택 적용

이처럼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 금액은 달라지지만, 꾸준히 저축하면 큰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?
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1회, 일정 기간 동안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이번 달 신청 기간은 1월 2일부터 10일까지입니다.

신청 절차

  1. 협약 은행 앱 접속
    청년도약계좌는 아래 은행에서 가입 가능합니다:
    •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농협은행, 기업은행
    • 지방은행: 부산은행, 경남은행, 대구은행, 전북은행, 광주은행
  2. 본인 인증 및 소득 기준 확인
    은행 앱에서 소득 증빙 서류와 본인 인증을 통해 가입 조건 충족 여부를 확인합니다.
  3. 가입 금액 및 납입 방식 선택
   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 원하는 금액을 설정하면 됩니다.
  4. 계좌 개설 및 납입 시작
    가입 승인이 완료되면 계좌가 개설되고, 납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의 장점은 무엇인가요?

  1. 정부 기여금 지급
    가입자의 납입금에 추가 지원금을 더해줍니다.
  2. 높은 이자율
    은행별로 연 4.5~6%의 높은 이자율을 제공합니다.
  3. 비과세 혜택
    적금으로 발생한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4. 목돈 마련 가능
    5년간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 지원금과 이자를 합쳐 최대 5,000만 원까지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 

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?

  • 중도 해지 시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.
  • 소득 기준이나 납입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
 

마무리하며

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을 넘어, 청년들이 미래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금융 상품입니다. 특히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활용하면 단기간에 목돈을 마련할 수 있어 많은 청년들에게 유용한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.

 

신청 기간이 제한되어 있으니, 조건을 충족하는 분들은 서둘러 신청해 보세요!

공지사항